혜천의 Travelog

 

일광해수욕장에서 오른편 길을 따라 들어가면 항곶포 였던 학리포구 학리마을이다 , 마을 끝자락에 흰색등대가 우뚝 서있다. 학리마을에 대해서는 1689년 기장으로 유배 온 지호 이선공의 문집에 항곶포라는 기록이 나오는데, 이곳이 학리등대가 있는 학리마을이다.

사시사철 어업과 농사가 활발한 어촌마을로, 신선한 채소와 싱싱한 생선들을 맛볼수있는 포구로 유명하다. 

 

학리 마을의 유례는 마을의 생김이 황학의 모습과 닮았다 하여 풍수설에 의하여 학리라 하였다는 설도 있고  마을 남쪽에 있는 노송에 겨울이 되면 학의 큰 무리가 서식하였기 때문에 학리라 하였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다른 것은 보이지 않고 학리마을 뒷동산에 300년된 노송한그루가 있는데 그 소나무에 선학들이  둥지를 짓고 군무하는 선학을 두고 동리 이름을  ‘학리(鶴里)’라고  했단다.

 

 

 학리포구 정자에서 일광해수욕장 뒤 우뚝 솟아있는 봉우리가 취봉산(달음산)이라고 한다. 기장 8경중 1경해당하는 달음산이 보이는데 이 곳에서 면 가장 먼저 새벽을 맞이하는 곳이라 한다.  그리고  거물산이라는 산은 예부터 해송이 우거져 수군의 배를 만드는 목재로 사용하기 위해 봉산(  나라에 필요한 목재를 조성하기 위하여 벌채를 금지하는 산으로 봉산에서 벌목을 하다가 적발되면 곤장을 맞았다고 함) 으로 지정 산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일광산은 일광해수욕장, 일광의 유래인 일광산의 주봉은 백색의 화강석만 널려 있어, 멀리서 보면 마치 백운이 덮여있는 것 처럼 보인다 하여 후세 사람들은 백두산이라하기도하고 옛날은 산이 흰빛으로 보이니 흰빛뫼라고 하였고 이곳 방언으로 흰빛뫼가 해빛뫼로 불려져 그 뜻을 한자로 옮기면서 ‘일광산’이라 하였다고 전해진다네요. 

 학리정자 밑바다가 너럭바위는 갯마을의 저자 난계오영수가 낚시하던 곳이라 해서인지 요즘도 학리 방파제에는 조사들이 많이 모인 답니다.

 다시 왔던길을 되돌아 나오며 테크길을 걷는다.

학리마을 입구 정자에서 서서 한국유리쪽으로 바라보면 이천등대와 이동등대가 보인다. 다시 왔던 길로 돌아 나오면서 옛 약수터를 지나면 고산 윤선도 선생이 아우와 이별했던 삼성대가 있다 삼성대 언덕에 올라 활처럼 휘어진 일광해수욕장을 내려다보자. 백사장을 따라 걷다보면 난계 오영수선생의 시비(詩卑)가 있는 일광천에 다 다른다. 일광천 건너편에 아름드리 소나무 숲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곳이 강송정이다.

 

 일광을 형성하게 된 일광해수욕장

본격적으로 일광해수욕장 호안을 걷기 시작합니다. 일광해수욕장은 동해 남부해안의 해수욕장 중에서 가족동반 피서객이 많이 찾는 곳으로 백사장 길이는 1km, 수온은 섭씨13도며, 백사장 왼편에 소나무숲인 강송정이 있다.또, 인근에 있는 칠암에는 횟집촌이 형성돼 싱싱한 육질의 생선회를 맛볼 수 있어 해 마다 많은 피서객들이 찾는 곳이다. 그리고 매년 8월 1일부터 4일간 갯마을 마당극 축제가 열리는데 수상무대에서 펼쳐지는 마당극은 애증과 갈등, 시대를 풍자한 극으로 많은 피서객들을 희로애락의 세계로 인도한다고 합니다. 

 

 

이천마을 동편에 일반적인 등대 모습과 다른 형상의 등대가 서 있다. 차별화된 등대라 눈에 익숙하지 않은 모습이지만 그래도 좋다. 

 강송정에서 바닷길로 접어들면 지금은 이천리로 부르는 이을포구다, 이을포에는 당집옆 느티나무가 많이 서있다.기장현 읍지에 이을포는 현에서 10리이고 어량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어량을 일개또는 이을개라 하는 것이다. 어량은 강물이 한군데로만 흐르도록 물살을 막아 놓고 그곳에 통발을 놓아 고기를 잡는 도구라 할수있다. 

                 * 얼개를 쳐 통발을 놓았던 일광천         

 

                     * 강송정

 옛부터 일광천 하구 조수가 밀려드는 곳에 소나무 말뚝을 나란히 강바닥에 박아서 그 말뚝이 강을 가로질러 나란히 이어 지도록 연결시켜 얼개를 놓고 간조와 만조시 물살을 따라 오르내리는 고기를 그물을 놓아 잡았는데 몇년전까지 이런 얼개로 고기를 잡았으나 공해로 인하여 어장이 고갈되어 얼개가 없어졌다고 한다. 

             

Posted by 혜 천
고산윤선도 선생의 시 두편을 읽고 학리 포구로 발길을 옮겼다. 학리 포구에서 바라보는 일광해수욕장의 경치는
가까에에서 보는 맛과 또 틀린다., 일광해수욕장, 이천포구,이동포구등이 한눈에 들어 온다.



학리포구에 들어서자 입구에 정자가 하나 서있다. 나그네들 쉬어 가라고 만들어 둔것 같다. 이곳에 앉아 왼쪽으로 눈을 돌리니 일광해수욕장의 백사장이 보이고 맞은편엔 이천포구의 붉은 등대가 보인다. 눈을 오른쪽으로 돌리자 이동포구의 벽화방파제가 아련히 보인다.
 
쉬는것을 접고 학리포구로 들어 서니 곳곳에서 출어준비에 바쁘다. 동네 아낙들은 장어 주낚을 준비하고 있다. 붕장어낚시 준비용 채비를 하고 있는 것 같다. 온동네가 부업으로 집집마다 낚시에 미낄르 끼우는 작업을 한다 . 골목마다 미끼를 끼워둔 주낚들이 몇통씩 수거를 기다리고 있다. 이렇게 많은 량을 준비해서 바다로 나가야 되나 보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오후에 준비하여 바다에 던져두고 밤에 고기들이 미끼를 좋아 하다가 낚시에 걸려 오도 가도 못하고 걸려드는 놈들을 익일 새벽 어부들이 건져 올려 잡아오는 것이다.
 

잡아온 장어들은 주로 칠암등 횟집으로가고 전국판로로 팔려나간다고 한다. 이곳에서 죽성으로 넘어 가야 되는데 산불 예방기간이라 톨로를 막아두어 큰길로 나서 죽성리 쪽으로 발길을 옮긴다.
Posted by 혜 천
31번국도 따라 걷는 도보여행코스 제 7  편  이을포와 일광해수욕장

 칠암포구 →동백포구 → 이동포구 →이을포와 일광해수욕장 → 학리포구

바다와 일광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이르면 기장 아홉포구중 하나인 이을포(伊乙浦)가 나온다.
이 이을포를 요즈음에는 이천포구라고 한다. 이천은 이동서, 이동, 이천동 세개의 마을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행정단위 마을이 이천리이며 그 마을 앞 바닷가가 이천포구이다.


일광 찐빵으로 유명한 찐빵 거리에서 바닷쪽으로 내러오면 소나무가 많이 있는곳이 강송정이며 옆으로 일광천이 흘려내려 오고있다. 일광천을 기준으로 왼쪽이 이천리, 오른쪽이 삼성리 일광해수욕장이며 일광천의 끝자락 이을포이다.

이을포의 옛이름은 얼개라한다. 이을포를 얼개로, 이을개를 줄여서 얼개라 하며 이을개는
 "잇은개(連結浦)라는 말로 漁梁이다. 어량이라는 말의 속어가 얼개라 한다. 경상도 시골이나 갯가에서 많이쓰는 단어 였다.
 
대나무나 가는나무들로 엮어 만든 고기잡는 장치로 바다물이나 강물이 한군데를 막아 놓고 그곳에 얼개로 둘러치고 끝부분에 통발을 놓아 고기를 잡는장치이다.



일광천 하류에 간조와 만조의 차를 이용해서 얼개를 놓아 고기를 잡곤 헸던 이곳 이을포가
 소설가 오영수의 갯마을 소설 실제 무대 였다.

그래서 이곳에 오영수 갯마을 문학비가 서있다. 그리고 이을포구 시장 뒤편 느티나무, 느릅나무와 당집이 있는곳이 소설의 배경이 되었던 곳이다. 그래서 길옆에 또 하나의 문학비가
서있다
.



오영수는 언양에서 태어나 1943년부터 해방 될때까지 일광에서 살았다. 일광에 손위 누님이 일광초등학교 에서 교편을 잡고 있었다. 그때 일광면 사무소에서 임시직 근무를 하며 김동리선생과도 교분을 쌓기도 한다.


기장 팔경중 3경에 해당할 만큼 아름다운 일광해수욕장
일광면 삼성리에 위치한 일광해수욕장은 1953년 문예지에 발표된 오영수선생의 소설 갯마을의 실제무대 이고 1965년 김수용 감독이  영화를 만들어 상영하자 갯마을의 도시로 소개되었다.그리고 2004년 신하균 원빈주연의 영화 우리형 촬영지이기도 한곳이다.  




고산윤선도 선생이 귀양와서 동생과 이별하며 시 두편을 지은 곳이 일광해수욕장에있는 삼성대이다. 이을포 강송정 끝자락에서 학리포구 1.8 km를 은빛 모래사장을 일광해수욕장이라고 한다. 말그대로 은빛을 내는 백사장이다. 여름이면 가족단위나 젊은이들의 나들이 장소로 유명하다.



고려말 정몽주, 이색,이숭인등 문인들이 반했다는 백사장 중간에 삼성대가 우뚝 서있다. 이곳에 고산 윤선도 선생의 애환이 서려있는곳이기도 하다.

조선 광해군때 광해군의 잘못 대해 상소를 올렸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 갔다가 다시
이곳 기장으로 유배온 곳이다. 유배된 고산을 만나러 온 동생 과 헤어지며 그 심정을 읊은
 시  2편이 시비로 되어 있는 곳이다. ( 贈別少第 2首 ) 


   여행정보
  1. 찾아가는길
   * 부산직활시 기장군 일광면 삼정리
   * 전화 기장군 문화관광과 : 051-709-4081
             일광면 사무소 :051-709-5214
 2. 교통편
     버스 39번,181번
Posted by 혜 천